사진 픽셀 조정 [그림판] 본문
사진 픽셀 조정 [그림판]
사진 픽셀 조정
윈도우 운영체제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이미지 보조프로그램인 그림판으로 이미지 크기 조절 즉 사진 픽셀 조정을 해보겠습니다.
전문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하는게 확실히 빠르고 편리하긴 하지만 급할때나 혹은 프로그램이 없을때는 이만한게 없습니다.
* 만약 이미지 뷰어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림판 없이도 가능합니다.
사진 픽셀조정을 위해서는 일단 이미지를 불러와야 합니다.보조프로그램에서 그림판 실행후 단축키인 Ctrl+O키를
눌러주거나 왼편 상단의 파란색 버튼을 눌러준후 열기 메뉴를 눌러준후 위와 같이 열기창에서
사이즈를 조정할 이미지를 선택후에 하단의 열기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사진 픽셀 조정을 위한 이미지를 불러온후 창 하단의 회색부분을 보시면 불어온 이미지의 가로와 세로
그리고 이미지 용량이 표시됩니다.그 옆에 보이는 조절바로는 이미지 확대/축소를 할수 있습니다.
이제 불러온 이미지를 조정을 해보는데 어려운거 없이 상단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크기조절을 눌러준후
위와 같이 설정창이 뜨면 기준 항목에서 픽셀에 체크후 하단의 가로나 세로사이즈에 숫자를 입력해주시면
되는데 비율유지에 체크를 해놓으면 가로 크기에 맞게 세로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이전 설명을 이해 못하신분을 위해 다시 한번 설명드리는데 비율 유지에 체크를 하고
가로에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한 숫자에 해당하는 비율에 맞게 세로사이즈가 자동 조절됩니다.
이미지 모양 변화없이 그대로 작게 혹은 크게 할때 필요한 옵션이나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비율유지 없이 가로나 세로사이즈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가로 혹은 세로 사이즈 하나만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모양이 비정상적으로 변형 됩니다.왜 비율유지에 체크를 해야 하는지 감이 오셨을 겁니다.
크기조절과는 상관없지만 이미지를 회전시킬수도 있는데 회전을 클릭후 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메뉴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이 상태로 저장을 해야 회전된 모양으로 저장되니 이점도 알아두시구요.
주의할게 있는데 만약 이미지를 불러온후 저장을 클릭하면 사이즈를 조정한 이미지로 원본이 바뀌게 됩니다.
원본은 유지한채 수정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싶으면 반드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러 파일명도 다르게
저장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참고로 저장시 다양한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이 가능하니 이점도 참고하시구요.
사진 픽셀 조정을 윈도우에 내장된 그림판을 이용해 알아보았습니다.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과 전문 유틸도 있지만 그림판에서도 해당 기능이 있으니 급할때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운영체제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이미지 보조프로그램인 그림판으로 이미지 크기 조절 즉 사진 픽셀 조정을 해보겠습니다.
전문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하는게 확실히 빠르고 편리하긴 하지만 급할때나 혹은 프로그램이 없을때는 이만한게 없습니다.
* 만약 이미지 뷰어를 사용하고 있으면 그림판 없이도 가능합니다.
눌러주거나 왼편 상단의 파란색 버튼을 눌러준후 열기 메뉴를 눌러준후 위와 같이 열기창에서
사이즈를 조정할 이미지를 선택후에 하단의 열기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리고 이미지 용량이 표시됩니다.그 옆에 보이는 조절바로는 이미지 확대/축소를 할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창이 뜨면 기준 항목에서 픽셀에 체크후 하단의 가로나 세로사이즈에 숫자를 입력해주시면
되는데 비율유지에 체크를 해놓으면 가로 크기에 맞게 세로 크기가 자동으로 조절됩니다.
가로에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한 숫자에 해당하는 비율에 맞게 세로사이즈가 자동 조절됩니다.
이미지 모양 변화없이 그대로 작게 혹은 크게 할때 필요한 옵션이나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모양이 비정상적으로 변형 됩니다.왜 비율유지에 체크를 해야 하는지 감이 오셨을 겁니다.
메뉴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이 상태로 저장을 해야 회전된 모양으로 저장되니 이점도 알아두시구요.
원본은 유지한채 수정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싶으면 반드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러 파일명도 다르게
저장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참고로 저장시 다양한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이 가능하니 이점도 참고하시구요.
사진 픽셀 조정을 윈도우에 내장된 그림판을 이용해 알아보았습니다.
온라인으로 하는 방법과 전문 유틸도 있지만 그림판에서도 해당 기능이 있으니 급할때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