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쓰는법 본문
지방쓰는법
지방쓰는법
2012년 추석을 맞이하여 아침 일찍 일어나 조상님을 모시고 감사를 드리는 지방쓰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문이 있어서 어렵게 보이지만 아래 설명과 예제를 참고하시면 그리 어렵지 한번에 쓸수 있으실겁니다.
예제로는 고조부보,증조부모,조부모,부모,백숙부모,남편,처,형,형수가 있으며 이미지 밑에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붓글씨에 자신없는 분은 지방쓰는양식이 인쇄파일이 있으니 페이지 하단에서 다운받아 프린트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 이미지의 번호를 비교해가면서 지방쓰는방법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고조부모 지방(고조할아버지,고조할머니)
증조부모 지방(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
조부모 지방(할아버지,할머니)
부모 지방쓰는법(아버지,어머니)
백숙부모 지방(큰아버지,큰어머니,작은아버지,작은어머니)
남편 지방
처(아내) 지방
형 지방
형수 지방
아래와 같은 미리 만들어놓은 지방서식이 페이지 하단에 있으니 참조하시어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브라우저로 열어서 원하는 부분만 그대로 복사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방쓰는법에 대해 샘플과 설명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페이지 초반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리 어렵지 않고 예제를 이용해 써주시거나 혹은 양식을 이용하시면 좀더 쉽게 작성이 가능합니다.
2012년 추석을 맞이하여 아침 일찍 일어나 조상님을 모시고 감사를 드리는 지방쓰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문이 있어서 어렵게 보이지만 아래 설명과 예제를 참고하시면 그리 어렵지 한번에 쓸수 있으실겁니다.
예제로는 고조부보,증조부모,조부모,부모,백숙부모,남편,처,형,형수가 있으며 이미지 밑에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붓글씨에 자신없는 분은 지방쓰는양식이 인쇄파일이 있으니 페이지 하단에서 다운받아 프린트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 이미지의 번호를 비교해가면서 지방쓰는방법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① 제사를 모시는사람과 고인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써주시면 됩니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써주시면 됩니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② 고인의 직위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써주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써줍니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써주고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씁니다.
남자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써주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 나라에서 받았기 때문에 그 호칭을 써줍니다.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學生(학생)’이라 써주고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이라 씁니다.
③ 고인의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으로 여자조상이나 아내의 경우는 본관과 성씨를 써주고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을 써줍니다.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으로 여자조상이나 아내의 경우는 본관과 성씨를 써주고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을 써줍니다.
④ 신위(神位)
공통적으로 맨끝에 '신위(神位)'라고 써줍니다.
- 지방을 쓰는 종이는 화선지 혹은 한지를 사용하게 되며 마트나 문방구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 지방의 크기는 지방틀이 없을 경우 6cm x 22cm이며 지방틀이 있으면 지방틀의 크기에 맞추시면 됩니다.
- 앞에서 볼때 오른쪽이 여성의 신위,왼쪽이 남성의 신위인데 한분일 경우는 한분만 써주시면 됩니다.
- 한글로 지방을 쓸때는 한자음 즉 발음대로 써주시면 됩니다.
공통적으로 맨끝에 '신위(神位)'라고 써줍니다.
- 지방을 쓰는 종이는 화선지 혹은 한지를 사용하게 되며 마트나 문방구에서 구입이 가능합니다.
- 지방의 크기는 지방틀이 없을 경우 6cm x 22cm이며 지방틀이 있으면 지방틀의 크기에 맞추시면 됩니다.
- 앞에서 볼때 오른쪽이 여성의 신위,왼쪽이 남성의 신위인데 한분일 경우는 한분만 써주시면 됩니다.
- 한글로 지방을 쓸때는 한자음 즉 발음대로 써주시면 됩니다.
지방서식 예제
아래와 같은 미리 만들어놓은 지방서식이 페이지 하단에 있으니 참조하시어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브라우저로 열어서 원하는 부분만 그대로 복사해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조부모 |
증조부모 |
조부모 |
부모 |
관위자 예시 |
배위가 두 분인 |
백부모 |
|||||||||||||||
|
|
|
|
|
|
|
숙부모 |
형,형수 |
아우 |
아내 |
남편 |
자식 |
||||||||||||||||||||||||||||||||||||||||||||||||||||||||||||||||||||||||||||||||||||||||||||||||||||||||||||||||||||||||
|
|
|
|
|
|
지방쓰는법에 대해 샘플과 설명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페이지 초반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리 어렵지 않고 예제를 이용해 써주시거나 혹은 양식을 이용하시면 좀더 쉽게 작성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