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요금 조회, 확인 방법 본문

수도요금 조회, 확인 방법

수도요금 조회 즉 확인 방법입니다.세수나 샤워 그리고 세탁이나 식수 등 살면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가 물인데 당연히 공짜로 쓸수는 없고 요금을 내고 사용해야 하는데 오늘은 수도요금조회 즉 확인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상/하수도 요금고지서 및 영수증에 있는 관할 지역 상수도 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간단히 알아볼수 있는데 지역마다 조금씩 이용 방법이 다를수가 있습니다.


수도요금 조회 즉 확인을 하기전에 꼭 필요한 항목이 고객번호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름도 알아야 하는데 고객번호의 경우 위와 같이 별도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름도 마찬가지인데 지역마다 위치가 다를수도 있습니다.이름의 경우 고지서 및 영수증에 있는 이름으로만 검색이 가능하니 이점 알아두시구요.




이제 지역별 상수도 사업본부 홈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되는데 네이버에서 상수도 사업본부로 검색해 요금은 납부하고 있는 관할지역 본부의 홈페이지 바로가기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예제에서는 인천과 서울을 해보는데 앞서 설명드렸듯이 지역마다 조회하는 방법이 살짝 다를수가 있습니다.




인천광역시 상수도 사업본부 홈페이지의 모습으로 주메뉴를 비롯해 수많은 바로가기가 있는걸 볼수 있는데 요금을 알아보려면 중간에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간편요금조회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어떤 지역관할사업본부라도 메인 화면에 조회메뉴 바로가기가 있으니 잘 찾아보시면 됩니다.




간편조회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입력을 한후 결과를 확인할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데 초반에 설명드린대 고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구분,조회기간,수납내역 조회기간 선택을 해준후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인천의 경우는 사용자나 소유주명 없이도 고객번호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서울특별시사업본부의 경우 아예 메인화면에 잘 보이게 왼쪽에 중요 바로가기로 보이는걸 알수 있는데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요금조회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참고로 요즘은 왠만한 공과금은 온라인으로 납부가 가능한데 수도요금이나 전기세,가스요금이 그에 해당합니다.




정기분 조회의 경우 말 그래도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납부를 하고 있을때로 고객번호와 사용자/소유자명을 입력후 조회를 하시면 되며 버튼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온라인납부도 가능합니다.
앞서 설명드린대로 사용자/소유자명에서 고지서에 표시된 이름을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수시분은 말 그대로 수시로 납부하는 경우로 수도계량기를 바꾸거나 가입자 명의가 바뀔때 일정기간 사용한 요금을 납부할때 조회하는 것으로 고지번호만으로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체납분은 요금은 내지 못했을때 얼마나 내야 하는지 확인을 하고 싶을때로 고객번호와 함께 사용자명을 입력후 조회를 해주시면 됩니다.입력폼 윗쪽에 있는 설명에도 있듯이 정기와 체납의 납부요금이 같은 경우에는 정기분이 우선입니다.


수도요금 조회 즉 확인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고객번호는 필수로 알아두셔야 하고 경우에 따라 고지서/영수증에 기입된 이름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