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계산, 확인 방법 본문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계산, 확인 방법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계산 즉 확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미리 언급을 드리지만 절대적으로 신뢰하시면 안되고 설명에도 있듯이 모의계산이니 이점 참고하시면 되는 건강보험 지역가입자계산 다시 말해 확인을 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입력사항이 4가지 인데 정확히 모르실때는 근사치를 입력하시면 되고 항목마다 설명이 되어 있으니 꼭 읽어보시고 선택이나 기입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계산 즉 확인을 하려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다음카카오 포털에서 검색을 해주시면 됩니다.당연히 네이버에서도 같은 검색을 해주시면 되고 결과에서 제목 바로가기를 클릭해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을 하시면 되겠습니다.주소 부분이 맞는지 꼭 확인하시구요.




관공서 홈페이지가 그렇듯이 1년에 몇번 인터페이스가 바뀌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런 경우에도 상관없이 메뉴를 찾으시려면 상단의 전체보기를 선택하고 펼침 메뉴에서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개인민원이나 사업장민원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메인에 두지 않은게 아쉽긴 합니다.




개인민원이나 사업장민원을 클릭후 페이지가 이동되면 상단의 건강보험안내 메뉴를 눌러주고 보험료 섹션에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4대 사회보험료 계산을 클릭해주세요.참고로 계산할때는 가입이나 로그인 혹은 소프트웨어 설치가 없어도 산출이 가능하니 이점 알아두시구요.




4대 보험료를 계산하는 바로가기 버튼이 보이는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데 우선 상단의 탭이 국민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가 선택되어 있는지부터 확인을 해준후 하단의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버튼 위에서 다시 안내되어 있듯이 예상금액이고 실제 보험료와 다를수 있습니다.




가입자구분과 성별,장애인여부,출생년월일을 입력하는 항목인데 가입자에는 세대주,배우자,자녀,세대원이 있으며 해당하는 구성원을 하나하나 선택을 해주고 오른쪽 상단의 입력(추가)버튼를 눌러 가입자에 추가를 시켜주시면 됩니다.실수했을 경우는 목록에서 구성원 선택후 삭제를 눌러주시면 되구요.




두번째는 수유하고 있는 차량을 등록하는 항목인데 차종과 최초등록월,연간세액을 선택후 이전 단계에서처럼 입력(추가)를 눌러주시면 됩니다.차량이 더 있을 경우는 계속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이번엔 재산으로 땅 즉 토지와 건물분 그리고 주택분이 있으며 전세보증금과 월세보증금 그리고 월세액도 포함됩니다.아파트의 경우는 주택분에 숫자를 넣어주시면 되는데 단위가 만원이라 만약 3억5천이면 35000만 입력해주시면 되고 천단위 구분자인 ','는 입력안하셔도 됩니다.




네번째가 보험료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소득부분으로 종합소득과 근로소득,연금소득이 있으며 만원 단위이니 단위에 맞게 입력을 해주셔야 합니다.참고로 종합소득은 홈텍스에서 조회하시면 됩니다.
가입자 별로 추가시켠 주시면 됩니다.근로소득과 연금소득 처리는 하단 설명을 참고하시면 되구요.
4가지 항목을 제대로 입력을 하셨으면 항목 마지막에 보이는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버튼 바로 밑에 산출결과가 출력되는데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더해진 월납부 보험료를 확인할수 있습니다.참고로 건강보험료의 6.35%가 장기요양보험료입니다.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계산 즉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얼마나 될지 궁금하셨던 분들은 보험공단 홈피 찾아가셔서 본문 설명대로 해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