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체크표시 방법 2가지 본문

엑셀 체크표시 방법 2가지

엑셀 체크표시를 어떻게 하는지 2가지 방법으로 알아보겠습니다.알파벳 브이자(V) 모양의 기호 그리고 그 기호가 사각형안에 들어간 모양을 셀안에 입력하는 방법 다시 말해 엑셀 체크 표시를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프로그램에서 직접 지원하는 삽입과 폼 등을 입력하는 개발도구를 이용하시면 되는데 개발도구의 경우 메뉴에 안보일 경우 나타나게 하는 방법도 확인해보겠습니다.


엑셀 체크표시를 셀안에 넣을려면 가장 먼저 입력하고 싶은 셀을 먼저 선택하고 나서 상단의 삽입 메뉴를 선택후 오른쪽 끝부분에 보이는 기호를 선택한후 다시 기호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네이버의 특수문자표에는 브이자 모양의 ∨가 있는데 기울기가 없다는게 단점입니다.




기호를 클릭하면 기호와 특수 문자를 골라준후 삽입할수 있는 작은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기울어진 브이자 모양을 찾으려면 기호 탭을 선택후 하위 집합에서 수학 연산자를 선택후 기호 목록에서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기호를 선택하고 하단의 삽입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삽입 버튼을 눌러주면 클릭한 셀안에 선택한 기호가 들어간걸 볼수 있는데 텍스트로 인식하기 때문에 
홈을 클릭후 글꼴에 있는 꾸미기를 이용해 색깔이나 크기,기울기 등을 바꿔줄수가 있습니다.
여러 셀에 넣고 싶을 경우는 한개의 셀을 복사해 붙여넣기 해주시면 고생을 덜할수 있습니다.




2번째 방법은 개발도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개발 도구 메뉴를 선택한후 컨트롤 섹션에서 삽입을 클릭후 사각형안에 체크가 보이는 아이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참고로 사각형 없는건 이전 방법을 쓰셔야 합니다.만약 개발도구 메뉴가 안보일 경우 본문 마지막의 나타나게 하는법은 참고하시구요.




위와 같이 입력된걸 볼수 있는데 첫번째 방법과 달리 셀안에 있는게 아니고 사용자 임의로 마우스 드래그로 위치를 이동시킬수가 있으며 글자를 안나오게 하거나 다른 글자로 바꾸고 싶으면 선택을 해준후에 마우스우측 버튼을 클릭해 컨트롤 서식을 눌러준후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앞서 언급한 개발도구가 안보일 경우의 해결방법을 알려드리는데 우선 위와 같이 파일 메뉴를 선택후에 옵션을 클릭해주세요.




옵션으로 들어온후 왼쪽에서 리본 사용자 지정을 선택후에 오른쪽의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란 개발도구에 체크를 해준후에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개발도구가 메뉴에 추가된걸 볼수 있을겁니다.


엑셀 체크표시 방법을 2가지 방법을 이용해 알아보았습니다.
첫번째는 일반적인 모양이고 두번째는 사각형 안에 들어간 모양이니 용도에 맞춰 쓰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