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 확인 방법 2가지 본문

mac 주소 확인 방법 2가지

mac 주소 확인을 하는 방법을 소개해봅니다.네트워크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고유 식별 번호에 해당하며 아이피와는 달리 임의로 변경하기가 힘든 특징이 있는 어드레스를 찾는 즉 mac 주소확인을 2가지 방법으로 알아보겠습니다.본문의 내용은 윈도우 시스템에 해당하면 그외 모바일이나 다른 OS는 추후 따로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오늘은 날씨가 꽤나 추운데 부디 감기 안걸리시길 바랍니다.


mac 주소 확인을 위한 두가지 방법중에 하나인 cmd명령창을 이용해보도록 하는데 명령창을 띄우려면 시작을 눌러준후 바로 윗쪽에 뜨는 입력칸에 cmd를 눌러주고 프로그램 목록에서 cmd.exe가 선택된걸 확인후 키보드 엔터키를 눌러주시면 됩니다.윈도우에서는 동일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cmd명령창이 뜨면 검은 화면에 커서가 깜빡깜빡이는걸 확인후 위와 같이 'ipconfig /all' 을 입력후 엔터키를 눌러주세요.그냥 ipconfig만 하게 되면 물리주소가 확인이 안되니 꼭 /all을 붙여주셔야 합니다.
만약 커서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마우스로 검은 화면을 한번 클릭해주면 됩니다.




엔터키를 눌러준후 위와 같이 시스템내의 네트워크 정보를 출력하게 되는데 분홍색 사각형 부분의 오른쪽 영문과 숫자가 포함된 부분이 맥주소에 해당합니다.참고로 VMware등의 가상머신의 정보도 나올수 있는데 구별하는 방법은 연두색 사각형 뒷부분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은 부분을 찾으시면 됩니다.




2번째가 제어판의 네크워크 항목에서 찾는 것으로 일일이 제어판까지 갈 필요없이 시작을 눌러준후 입력칸에 네트워크를 입력하면 상당 제어판 바로가기 목록이 나오는데 그중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네크워크 및 공유 센터'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이렇게 해야 빨리 이동할수 있습니다.




네크워크 및 공유 센터에 들어오면 기본 네트워크 정보를 시작으로 윈도우 시스템의 네트워크 정보로 살펴볼수 있는데 여기서 활성 네트워크 보기 항목에서 로컬 영역 연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활성 네트워크에 여러개가 있을 경우도 있는데 그럴때는 액세스 형식이 인터넷인걸 찾아주시면 됩니다.




로컬 영역 연결을 눌러주면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창이 팝업되며 IPv4라든가 IPv6등이 연결을 비롯해 시간과 속도 그리고 보냄과 받음의 송수신 상태를 보여주는데 맥주소를 보시려면 가운데 보이는
자세히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기를 눌러주면 세부정보를 볼수 있는데 3번째 보이는 물리적 주소 부분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외 서브넷마스크 등의 네트워크 공유와 관련된 주소도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mac 주소 확인을 2가지 방법으로 소개해보았습니다.
사용하기 편한 방법으로 알아내시면 되니 기억해두셨다가 필요할때 써먹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