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건강보험요율 알아보기 본문

2016년 건강보험요율 알아보기

2016년 건강보험요율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매달 소득의 일정부분을 일괄적으로 내야하는데 소득별로 얼마나 되는지 지역가입자나 직장가입자별로 찾는 다시말해 2016년 건강보험 요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2가지 방법 즉 4대보험연계센터와 네이버를 이용해보는데 전자의 방법에서는 보험료 산정에 필요한 소득의 범위까지 링크로 제공되어 있어 일석이조의 정보를 얻을수가 있습니다.



2016년 건강보험요율이 어떻게 되는지 첫번째 방법으로 알아보는네 네이버에서 4대보험연계센터(바로가기)로 검색후 홈페이지 제목 부분을 클릭해 방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참고로 제목 밑의 주요 메뉴에서 지사찾기의 경우 4대 사회보험기관의 지역별 센터를 찾을때 유용하니 살펴보시구요.





홈페이지 메인으로 들어온후 상단 메뉴에서 알림마당을 선택후 서브 메뉴에서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4대사회보험료모의계산을 눌러주세요.여기서 전국에 있는 병원이나 약국 혹은 건강검진기관을 조회해볼수 있는 의료기관 찾기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니 기억해두셨다가 필요할때 이용해보세요.





새창이 뜨면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료를 얼마나 내야하는지 계산할수 있는 새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2번째 건강보험을 선택한후 계산하는 부분 하단을 보면 요율정보를 확인할수 있습니다.초반에 설명드린 산정에 필요한 소득범위 산출은 하단의 파란색 버튼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소득범위 산출은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로 구분할수 있는데 위와 같이 특징을 시작으로 산정과 보수의 범위 등의 항목으로 상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분은 참고해보시구요.




이미 설명드린대로 네이버에서도 알수 있는데 위와 같이 검색을 한후 건강보험 탭을 클릭후 세부 정보를 확인해보시면 되는데 앞서 소개한 연계센터와 별반 다를게 없다는걸 알수 있을겁니다.



2016년 건강보험요율이 어떻게 되는지 2가지 경로로 확인해보았습니다.
근로자,사업주 각각 3.06%인점 알아두시고 오늘도 하시는일 잘 풀리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