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주행 감점요인 세부정리 본문

도로주행 감점요인 세부정리

도로주행 감점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신체검사,학과,기능을 거치면 연습면허가 발급되는데 마지막으로 직접 자동차가 운행되는 도로로 나가 시험을 보게 되는데 그때 도로주행 감점 요인을 미리 알아두시면 사전에 준비를 해서 감점을 받지 않을수가 있습니다.도로교통공단에는 개략적인 내용만 있는데 이걸 스물한개로 분류한 요인으로 정리해두었는지 참고하셔서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도로주행 감점요인 개략적인 내용을 확인해보시려면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메인화면에서 상단의 운전면허 메뉴를 선택하면 위와 같이 엄청 많은 서브메뉴가 뜨게 되는데 그중  핑크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학과/기능/도로주행'을 클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학과/기능/도로주행 페이지로 이동을 하고 난후 윗쪽의 탭 메뉴에서 도로주행시험을 클릭하면 상세한 설명이 나오는데 첫번째가 채점방식에 관한 내용입니다.예전엔 특정 양식지에 수기로 하는 방식이었지만 효율과 객관성을 가지기 위해 2012년 경인가부터 태블릿을 이용한 전자채점방식으로 변경됐습니다.





윗쪽에 있는 표가 감정에 관한 개략적인 내용으로 너무 포괄적이라 시험볼때 어떤걸 주의해야 하는지 알수가 없는데 그 아래 13개 항목 21개로 분류된 세부적인 내용을 보시면 파악하기가 쉬울겁니다.
실제 운전중에 빈번히 일어날수 있는 위험요소인데 하나하나 읽어보면서 습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교통안전교육부터 본 면허 발급까지의 단계별 순서도인데 필기의 경우 불합격시 바로 다음날부터 응시가 가능한데 기능시험과 도로주행의 경우는 불합격시 3일 경과후에 재응시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1,2종이 아닌 기타 면허의 경우 기능시험후 도로주행없이 바로 본 면허가 발급됩니다.




참고해둘만한 자료인데 종별로 운전이 가능한 차량에 관한 정보인데 본인이 소지한 면허에 맞게 운전을 하셔야 하며 위반하면 당연히 벌금이 나오게 됩니다.평균적으로 2종 보통 이상으로만 있으면 운전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도로주행 감점요인의 개략적인 내용과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시험전에 꼭 한번 읽어보시고 한번에 합격하셔서 늘 안전운행하는 매일매일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