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계산기 이용방법 본문

연말정산 계산기 이용방법

연말정산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실제 소득보다 많은 세금을 냈을때는 돌려주고 적게 냈을때는 징수하는 절차로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사용해봤을 연말정산계산기를 어디에서 해야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2016년 올해부터는 직불카드나 현금영수증 등에 추가 공제가 되며 퇴직연금과 주택마련저축,벤처기업 출자액의 소득공제가 확대되니 이점 알아두셔서 해당되는 분들은 꼭 확인해보세요.


연말정산 계산기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한국납세자연맹과 국세청이 있는데 두군데 전부 가입을 해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네이버에서 위와 같이 검색한후 들어가주시면 되는데 해당 사이트가 국세청보다 설치하는게 적고
절감하는 방법 등의 유용한 생활정보가 많이 나와있으니 시간 날때마다 확인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홈페이지의 모습인데 요즘 한참 시즌이라 오른쪽 스크롤 메뉴에 눈에 뜨게 배치되어 있는 첫번째를 클릭해주면
됩니다.아쉽게도 앞서 설명드린대로 국세청과 마찬가지로 가입을 해야하지만 어차피 1년마다 이용하실거면
상관없으리라 생각이 되네요.메인에 있는 정보를 보시면 팁이나 정보가 바로 연결되어 있으니 살펴보시구요.




순서는 입력과 결과 그리고 리포트와 후기의 단계를 거치는데 리포트와 후기는 필요없을 경우 과정을
안거쳐도 됩니다.맨위에 포인트에 쓰여져 있는것처럼 일반공제와 표준세액공제중 어느쪽이 유리한지
확인해보시구요.준비가 됐으면 하단의 군청색 이용하기 버튼을 꾸욱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용하기 버튼을 눌러주면 위와 같이 입력을 하는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데 꽤 많이 입력을 해야 하는거라서
잠깐 시간내서 하는것보다 점심시간 등 여유가 있을때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기본 입력사항의 총급여는 급여와 상여금을 합친것에서 비과세소득을 뺀걸 의미합니다.



참고로 파란색 자동 계산하기 버튼의 경우 앞서 입력한 정보에 근거에 산출되거나 혹은 별도의 창이 떠서
본인에 해당하는 수치를 입력하게끔 되어 있으며 잘 모르는 항목의 경우는 힘들더라도 인터넷이나
잘아는 사람에게 물어 빠짐없이 꼼꼼이 입력해두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볼수 있습니다.




이번엔 국세청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직접 국세청에 들어가 찾기보다는 위와 같이 검색어를 통해 검색후
홈페이지 관련정보 항목에서 메뉴를 찾아보시는게 훨씬 빠릅니다.하단에 앞서
페이지 처음에 알려드린 올부터 달라지는점이 요약되어 있으니 살펴보시고 더보기 더많은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이전 단계에서 메뉴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현재 홈텍스에서
제공하는 링크로 들어가셔야 하며 설명되어 있는데로 역시나 로그인이 필요함을 알수 있습니다.




홈텍스 홈페이지로 들어온후 메인 화면 전면에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중에 하단의 분홍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아이콘을 눌러주시면 됩니다.다음 과정은 앞서 소개한 납세자연맹과 비슷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설치하는게 좀 있을겁니다.



연말정산 계산기 이용방법을 2군데 사이트에서 알아보았습니다.
해가 지날때마다 한번은 해보는 과정이니 차근차근 시간내서 자세히 입력해 원하는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