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본문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하는 방법입니다.토지의 용도와 도로조건,공적규제 정도에 따라 시장이나 군수,구청장이 평가 공시한 평방미터당 지가를 열람하는 개별공시지가조회를 어디에서 해야하는지 짧고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검색어 한개만 알아두시면 데탑은 물론 모바일에서도 쉽게 찾아 볼수 있는데 추가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을 검색하는 방법도 본문 후반에 따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하려면 앞서 설명드린대로 검색어 한개만 알고 계시면 되는데 네이버에서 '부동산공시가격'으로
검색을 해주시면 됩니다.검색결과에서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인 알리미 사이트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국토교통부 알리미 사이트에 들어가면 상단에서 바로 메뉴를 볼수 있는데 토지를 선택후 서브 메뉴를 클릭해주면
됩니다.참고로 전화 문의가 가능한 콜센터도 운영하고 있는데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1644-2828입니다.
FAQ에 개별과 표준이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궁금하신분은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지역별로 분류되 바로가기 링크가 보이는 페이지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찾고자 하는 지역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이동하는 지역 링크는 부동산 정보시스템이라는 역시나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안심하셔도 됩니다.
예제에서는 인천광역시를 클릭해 실제로 어떻게 출력이 되는지 간단하게나마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지번이나 도로명 2개중에 하나에 체크를 한후에 주소를 입력후 검색을 해주시면 됩니다.
결과는 기준년도,토지소재지,지번,지가,기준일자,공시일자 순으로 나오게 되며 맨위가 최근 데이터입니다.
이상태에서 인쇄버튼을 눌러주면 목록만 따로 프린트를 할수 있으니 필요한분은 알아두시구요.
추가로 이번엔 토지가 아니라 개별단독주택을 알아보는 예제로 토지와 비슷하게 지역을 먼저 선택을 해준후
조회기간을 입력후 검색을 눌러주시면 되는데 건물번호는 입력 안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주택소재지와 함께 대지면적,건물면적으로 분류된 산정면적을 볼수 있으며 마지막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파트같은 공동주택의 경우는 메뉴에서 주택을 선택후 공동주택을 클릭해주면 위와같이 별도의 페이지로 이동을
하는데 메인에 보이는 3개 바로가기 버튼중에 용도에 맞는걸 클릭해 들어가주시면 됩니다.
클릭후 한국감정원 공동주택공시 열람 시스템 홈페이지로 이동을 하는데 앞서 알려드린 방법과 비슷하게 세부 지역을
선택후에 세부 옵션을 선택해 검색을 해주시면 됩니다.도로명과 지번 두개중에 편한 방법을 택하실수 있습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을 어려지 않게 확인해보았습니다.
어려운건 없고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 몰라 헤매셨던 분들은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