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 파일 뷰어 사용법 본문
eps 파일 뷰어 사용법
eps 파일 뷰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일러스트나 혹은 맥에서 쿽을 사용해보신 분이라면 익숙하게 보아왔을 인쇄 전용 파일을 편집 유틸없이도 볼수있는 eps 파일뷰어을 소개하고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여러가지 뷰어가 있지만 용량이 작으면서 설치할때 추가옵션이 없는 유틸을 찾아보았는데 당연히 프리로 쓸수있으며 jpg로 바꿀수 있는 기능도 있어 제법 쓸모가 있을겁니다.
eps 파일 뷰어를 찾아보기 위해서 네이버에서 'eps file viewer'로 검색을 한후에 사이트 섹션의 첫번째
홈페이지(바로가기)로 들어가시면 됩니다.영문 설명에 나와있듯이 트라이얼이 아닌 프리로 사용할수있습니다.
만약 어도브 일러스트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굳이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그냥 열어보시면 됩니다.
메인 페이지 화면으로 설명과 함께 스크린샷을 볼수있는데 바로 받으시려면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해주시면 되며 설치과정은 이미 설명드렸듯이 옵션같은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일반적인 과정인 다음 버튼을 눌러줘 진행하는 방식으로 1분 이내로 완료될겁니다.
설치 완료후에 실행을 한후 메뉴에서 File를 선택후 Open을 눌러 열어보고 싶은 파일을 불러오시면 됩니다.
참고로 나머지 메뉴인 줌인,줌아웃,Save As JPG도 따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열어보고 싶은 eps파일을 선택후에 열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는데 참고로 다른 포맷은 열수가 없습니다.
파일을 끌어 프로그램으로 드래그해 열어보는 방식은 지원하지 않는게 좀 아쉽지만 어쩔수 없습니다.
열기를 해주면 일반적인 뷰어로는 볼수없었던 파일을 위와 같이 볼수 있으며 좀더 보기 편하게 마우스 휠이나
콘트롤키+PageUp/PageDown키로 확대와 축소를 하면서 볼수도 볼수도 있습니다.
뷰어가 없을 경우를 대비해 일반적인 이미지뷰어로 볼수 있게 jpg로 바꿀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파일메뉴를 클릭해준후 메뉴에서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한 Save As JPG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용량차이가 제법 많이 차이가 나는데 다음 단계에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예제를 보시면 알수있습니다.
원본이 2메가가 넘던게 jpg로 바꿔주니 150kb에 가깝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수 있는데 따로 품질 조정을 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런건 다른 이미지 뷰어에서 불어와 다시 품질 조정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eps 파일 뷰어를 소개해보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보는 방법을 몰랐던 분들은 참고해보시고 갑작스럽게 추워진 날씨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