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클라우드 백업 3가지 본문
다음 클라우드 백업 3가지
다음 클라우드 백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네이버 엔드라이브와 구글 드라이브와 더불어 하드공간 서비스 중의 하나인 Daum Cloud의 자료를 저장하는 즉 다음 클라우드백업을 3가지 방법으로 진행해보겠습니다.아쉽게도 올해 2015년 12월 31일자로 종료가 된다고 하는데 그전에 중요한 자료가 있으면 미리미리 저장을 해두셔야 하며 아래 소개하는 3가지 방법중에 1개를 골라 적용하시면 됩니다.
다음 클라우드 백업은 우선 해당 서비스 홈페이지(http://cloud.daum.net)로 들어가 주셔야 합니다.
서비스에 들어간후 첫번째 방법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을 시도해 보는데 위와 같이 서비스 종료 안내
하단의 파란색 글자를 눌러주거나 왼쪽에 메뉴 상단의 파란색 '파일 백업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윈도우와 맥용 2개중에 해당하는 운영체제에 맞는 버튼을 눌러주고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나중에 설명드리겠지만 위 페이지 하단에 zip파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법이 있으니 기억해두시구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전에 로그인을 해주셔야 하며 로그인 완료후에 위와 같이 백업을 위한 저장위치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기본적으로 입력이 되어 있는데 저장공간이 부족할경우를 대비해서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다른 위치를 정해줄수도 있으며 폴더이름은 이름에 입력된 이름으로 만들어집니다.
백업전에 클라우드에 저장된 전체 용량을 알려주는데 여기서 용량을 보시고 이전 단계에서 작업했던
저장위치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시작 버튼 옆의 이전 버튼을 눌러 다른 위치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휴지통에 있는 파일까지 백업하려면 클라우드 페이지에서 휴지통을 선택하고 복원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전 단계에서 시작을 눌러주면 백업이 진행되는데 완료가 되면 상단에 완료됐다는 메시지가 뜨게 되고
정상적으로 완료하지 못한 파일의 경우 하단 한얀색 배경의 파일 목록에 나타나게 됩니다.
무조건 아무것도 안나오는게 정상이며 저장된 폴더로 이동하면 상단 폴더보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폴더보기를 눌러주면 저장된 폴더로 이동을 하게 되며 실제로 정상적으로 됐는지 파일 리스트를 꼭 확인해보세요.
본인같은 경우 용량이 적은편이라 금새 진행됐는데 대용량인 분들은 꽤나 오래 걸렸다고 하더군요.
2번째 방법은 클라우드 페이지에서 체크를 이용해 내려받기 하는건데 전체 혹은 백업하고 싶은 파일이나 폴더를
체크후에 내려받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참고로 스마트 업로더를 설치하라고 하면 설치를 해주어야 하며
연두색으로 표시된 옵션의 경우 잘 살펴보시고 체크 유무를 확인해보시는게 좋습니다.
프로그램 설치 완료후 내려받기가 진행되는데 목록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 순서대로 진행되며
왠만하면 안정성을 위해 이전 단계에서 체크를 하실때 나누어서 체크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위 화면이 나오기 전에 어디데 저장할지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3번째 방법이 초반에 설명드린 zip압축으로 첫번째 프로그램을 이용한 백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때 사용할수 있는
방법으로 아까 설명한 윈도우용과 맥용 프로그램 페이지 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찾으신후 붉은색 사각형 부분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팝업창이 뜨며 친절하게 설명이 되어있는걸 볼수 있는데 파일을 2기가 단위로 압축해 저장할수 있으며
사용 방법은 하단 'zip파일로 압축하기' 버튼을 눌러준후 설명되어 있는대로 단계별로 진행을 해주시면 됩니다.
압축이 끝나면 압축파일 목록창이 위와 같이 뜨게 되고 저장 버튼을 눌러 진행을 해주시면 되는데
저장을 눌러준후 저장위치를 선택하는 창이 뜨고 적당한 용량을 가진 경로에 저장을 해주시면 됩니다.
완료후에 압축만 풀면 되는데 알집이나 7zip같은 압축툴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클라우드 백업을 3가지 방법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본인 상황에 맞게 적당한 방법을 선택해 적용해주시면 되는데 날잡아 하는것보다 기간으로 나누어 작업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