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딩프로그램 본문

인코딩프로그램

인코딩프로그램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파일을 원하는 종류의 파일로 간편하게 바꾸어주는 인코딩프로그램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려운 부분은 없고 그냥 파일 불러와서 원하는 형식을 지정해주고 버튼만 눌러주면 알아서 진행됩니다.

* 인스톨과정은 특별히 봐야할 부분인 한군데만 제외하고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Daum 자료실



인스톨 도중 나오게 되는 구성용소 선택은 잘보시고 원하는 곳만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램 시작후 원하는 형식으로 바꾸어줄 파일을 추가하기 위해
상단에 있는 두개의 탭중 분홍색으로 표시한 인코딩을 클릭후에
아래의 분홍색으로 표시한 불러오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형식으로 바꾸어줄 파일을 선택후 하단의 열기버튼을 눌러줍니다.
불러오기가 가능한 파일은 바로 옆의 지원하는 형식을 보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파일을 불러오면 좌측상단의 불러온파일목록에 보여지게 되고
우측의 원본 파일정보를 통해 해당 파일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수 있는데
파일의 용량, 화면크기, 초당 프레임수, 오디오 포맷, 음질 등을 알수가 있습니다.




인코딩프로그램의 핵심인 바꾸어주는 단계의 설정부분입니다.
예제로 휴대용 기기에 맞는 형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휴대기기용을 클릭후 옵션 좌측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기기에 해당하는 화질이 나오게 됩니다.
맨 오른쪽엔 작업후 예상결과가 출력이 됩니다.
만약 자막이 있다면 녹색사각형으로 표시된 세부설정을 클릭합니다.





자막이 있다면 세부설정에서 자막을 클릭후
맨위에 있는 자막출력에 체크를 해준후 하단의 확인을 클릭해줍니다.




모든 과정이 완료됐으니 이제 바꾸어 주기면 하면 되는데
여기서 혹시 다른 형식으로 바꾸고 싶을때는 그냥 이전 단계들에서 해줬던 과정을 다시 해주면 됩니다.
완료됐다고 생각되면 우측아래의 분홍색으로 표시된 인코딩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변환작업이 진행되는데 영상으로 보길 원하면 아래의 미리보기에 체크해두면 됩니다.
원본용량이 클수록 화질이나 화면크기가 클수록 시간은 오래 걸리게 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위와같이 메시지가 뜨게되며
바뀌어진 형식과 용량 등의 정보도 같이 출력됩니다.
제대로 작업이 됐나 확인을 위해 폴더열기를 눌러줍니다.




원하는 종류로 제대로 바뀐 파일이 있는게 보일겁니다.
이제 플레이만 해서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만 해주면 끝입니다.


인코딩프로그램의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미지와 설명을 한번만 읽어보시면 바로 적용해 사용하실수 있을겁니다.